유대인교육의 핵심은 하브루타가 아니다
유대인은 누구도 하브루타가 유대인 교육의 본질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많은 방법중에 하나일 뿐이다. 하브루타 방법을 중시하는 얼마 유대인 이외는 보통은 하브루타를 우리처럼 특별한 공부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유대인 교육의 핵심은 토라와 안식일과 공동체의 3가지를 통합하는데 있다
본질과 시간과 공간의 삼각형을 이루게 하는 연결이 유대인 하브루타의 본질이다
여기서 소통이 이루어지고 이런 만남을 통해 새로운 창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보면 하브루타는 단순한 공부법이 아니다. 관계를 친밀하게 하는 유대인의 삶의 양식이니다. 그런데 왜 하브루타를 이렇게 처음 소개했는지 궁금하다
하브루타는 모든 삶에 적용되는 유대인 사회를 하나로 묶어 주는 삶의 원리다
여기서 나온 것이 삼대문화 , 후츠파 문화, 창업문화. 절기문화. 공동체 네트워크. 토라탈무드 협력학습 문화 등이다,
하브루타를 나름대로 다음의 공식으로 정리해 보았다
토라(탈무드) x 안식일( 밥상머리 시간) x 공동체 ( 가정- 시나고그 회당- 예시바 학교 – 베이트 미드라쉬(평생학교)의 4중 벨트 네트워크) = 창의적인 유대인.
하브루타는 무엇인가?
여기서 하브루타의 정의가 자연스럽게 나옵니다 . 세가지 핵심의 관계를 서로 연결 해주는 x가 즉 연결고리가 하브루타입니다. 한국의 하브루타를 적용하려면 이런 관계를 이해하고 <본질 x 시간 x 공간 = 한국인( 나 자신) 을 응용하면 됩니다. 우리에게 본질은 무엇인가? 우리에게 정해진 시간은 있는가? 우리가 만나는 공동체 공간은 있는가?
하브루타교육은 질문 방법 보다 내용에 있다
우리는 유대인교육을 생각하면 질문하는 교육을 먼저 다가온다, 물론 유대인은 질문을 강조하지만 진짜 유대인 교육의 핵심은 방법이 아닌 내용에 있다. 헬라 철학 교육은 질문 중심이다. 늘 질문하면서 본질을 추구하는데 인생을 바치는 사람이 스토아 철학자들이었다. 지금도 철학자들은 이런 일을 반복하고 있다. 그들에게는 질문은 있지만 내용이 없다. 하지만 그들에게는 내용은 크게 문제가 안된다. 어떤 내용이든지 모두 공부이 대상이 되고 질문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그들은 내용보다 질문에 관심이 많다. 그것은 철저히 인본주의에서 온 교육방법이다. 그 배경에는 질문하는 인간의 가치를 높이는 의도가 있다.
성경을 보면 인간의 타락은 질문으로 들어왔다. 인간이 하나님이 만드신 선악과를 먹게 만든 방법은 다른 것이 아닌 질문이었다. 오직 인간만이 질문하고 답할 수 있는 능력을 받았다. 그것을 악하게 이용한 것이 뱀이 여자에게 질문으로 유혹했다. 여자에게 “하나님이 정말로 선악과를 먹지 말라고 하시더냐?”는 불순종을 의도한 인간을 향한 최초의 질문이다. 이것은 질문을 잘못 사용하면 하나님을 거역하는 방향으로 갈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가장 질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철학이다.
철학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하나님을 믿기 보다는 거역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것도 이런 배경과 깊은 연관이 있다. 오직 질문으로만 살아가다 보면 인간 중심이 되고 결국 하나님을 의심하게 된다. 한국의 하브루타 교육은 질문의 문화를 강조한다. 물론 질문이 중요하다. 질문이 없는 삶은 인간의 존재를 상실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지금 한국교육에 질문을 강조하는 하브루타교육은 어느정도 도전을 줄수는 있지만 내용이 빠진 질문으로만 나가면 오히려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텍스트가 질문을 만든다
한국 하브루타 교육의 강점은 짝을 맺어 질문하는 것이다. 그런데 질문 방법으로만 보면 헬라 철학자들과 유대인은 거의 차이점이 없다. 오히려 유대인이 헬라의 프톨레미 왕조의 시기에 헬레니즘의 수사법과 질문방식을 도입한 측면이 많다. 유대인도 결국은 거대한 헬레니즘 문화의 지배를 받아 성경적인 문화와 다르게 변질된 점이 많음을 전제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유대인은 다른 민족과 다르게 왜 질문을 쉬지 않고 해오면서 그들의 문화가 되었고 우리들은 그렇게 하지 못했을까? 그것은 텍스트에 있다. 유대인은 세상보다 뛰어난 토라가 있지만 헬라철학가들은 인간이 만든 고전 텍스트다. 그리고 그것은 절대적이 아니다. 대화와 질문으로 고전을 만들어 간다고 보는 편이 옳다. 토라와 같은 성경이 있기에 유대인교육이 가능했다. 성경이야 말로 최고의 질문을 만들어 내는 질문 교과서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