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에 숨어있는 공부의 비밀

우리공부는 주로 지식에 머문다. 그러다 보니 공부가 거의 책에 의존한다. 그러나 유대인의 공부는 특별하다. 전인적으로 공부한다. 유대인은 토라를 배울 때 책이나 지식적인 배움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토라의 구절을 담은 작은 정사각형의 상자를 만들어 미간과 손목에 붙인다. 이것을 테필린이라고 말한다. 또 직사각형의 통속에 토라의 말씀을 넣어서 집의 문설주와 바깥문에 붙인다. 이것을 메주자라고 말한다. 이것은 토라에 기록된 미간과 손목과 문설주에 붙이는 명령의 지침을 그대로 따라서 실천한 것이다.

테필린 안은 4개의 방이 있는데 출애굽기13:1-10, 출애굽기 13:11-16과 신명기 6:11,16.신명기 11:13-21의 말씀이 들어 있다. 지금도 유대인은 이것을 사람의 몸에 붙이고 집 문설주에 붙인다. 그것은 집에 나가고 들어갈 때 보고 손에 대고 입맞춤을 한다. 또 몸에 테필린을 붙이고 외출을 한다. 이것은 머리와 손에 말씀을 새겨 넣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의미가 있다. 잊어버리지 않고 몸에 각인하기 위한 오감 교육방법이다.

명절을 통해 오감을 체험하라

유대인은 일년간에 절기가 계속 이어진다. 안식을 시작으로 거의 분기마다 유월절, 초막절. 대속죄일. 부림절. 하누카 절기 등 일년이 절기로 구성된다고 보면 된다. 유대인의 절기는 우리로 말하면 국가 명졀에 해당된다. 유대인은 절기에 온가족이 함께 지킨다. 보통 1주일간 계속된다. 그들은 이날을 공부의 날로 삼는다.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성경의 내용과 유대인 전통과 역사를 공부한다. 유대인 역사를 일년동안 절기를 지키면 자연스럽게 공부하게 된다. 책으로 공부하는 것이 아닌 오감과 몸으로 공동체와 가족이 함께 체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몸에 체득한다. 안식일과 절기를 지키는 방법들은 자손 대대로 전수가 된다.

보이는 오감으로 보이지 않는 정체성을 체득하라

오감을 통해 이루어지는 절기공부는 역사, 철학, 사상, 의식, 전통, 공동체와 민족성을 총체적으로 몸으로 배우게 한다. 모든 절기마다 까다로운 규칙이 있는데 그것을 아버지는 자녀에게 전수한다. 유대인은 절기를 지내면서 자연스럽게 부모에 대한 예의와 식탁 예절을 몸에 익힌다. 안식일은 촛불을 켜고 안식을 빵을 먹고 유월절 절기에 무교병과 소금과 쓴나물을 먹는다. 초막절은 나뭇잎으로 집 앞에 초막을 만들어 그곳에서 일주일간 가족이 지낸다

. 머리에 키파라는 작은 모자를 쓰고 다니면서 늘 하나님이 자신과 함께 하며 늘 하나님 아래 있는 존재라는 것을 모자를 통해 몸에 체득한다.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8일째 되는 날에 할례를 행한다. 할례는 남자의 생식기의 표피를 베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구별된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남자는 평생 자신의 할례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유대인임을 인식한다.

온몸으로 공부하는 유대인의 공부효과

정통 유대인들은 어린이까지 옷자락의 귀퉁이에 청색 끈을 만들어 부착하고 다닌다. 이 끈은 하나님의 법을 상징한다. 유대인은 자기의 생각이 아닌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며 살아가는 것을 이 끈을 통해 기억한다. 전통 명절인 부림절에는 성경 에스더에 나오는 악한 대적 하만을 상징하는 하만 만두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하만을 이겼던 승리의 사건을 기억하게 한다. 또 유대인은 기도를 할 때 기도복을 입고 기도를 한다.

이것을 탈릿트라고 말하는데 탈릿트 끝에도 보면 끈들이 달려 있는데 이것은 하나님의 계명을 상징한다. 남자 아이가 태어나면 백향목을 심고 여자 아이가 태어나면 소나무를 심는다. 나중에 자라서 결혼할 때 이 나무로 결혼식의 차양을 만든다. 아이가 자라서 성장하여 결혼에 이르는 과정을 의미한다. 유대인들은 결혼식에서 유리컵을 깨는 순서가 반드시 들어간다. 즐거운 결혼식에 왜 유리컵을 깨는가?

첫째는 조상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였을 때에 성전이 허물어지고 역사가 실종되었던 것을 기억하기 위해서고 둘째는 깨뜨려진 유리 조각들을 원상 복구할 수 없듯이 결혼도 물릴 수 없는 영원한 것임을 신랑과 신부가 다짐하기 위해서다.

오감을 열어 사람 몸에 흔적을 남겨라

유대인은 자녀를 교육할 때나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오감을 자극하는 시청각 방법들을 생활 프로그램으로 적용한다. 그것은 교훈을 머리로만 아닌 실제로 몸에 체득하여 실천하기 위해서다. 수많은 의식과 상징을 통하면 잊어버리지 않게 되고 오랫동안 각인되는 효과가 있다.

우리는 공부를 거의 책으로만 하지만 유대인은 오감을 다양하게 사용한다. 공부를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지고 냄새를 맡으면서 오감을 동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식은 오감을 통해 우리마음과 생각에 들어간다. 그런 점에서 유대인은 이런 원리를 교육에 잘 적용한다. 반면에 우리는 책을 보며 강의를 듣는 시각과 청각에만 의존한다. 당연히 오감을 의존하는 유대인 공부가 시각과 청각에만 우리 공부 보다 탁월할 수밖에 없다. 보고 듣는 것도 우리는 오직 책에만 의존하는 점에서 우리공부는 한계가 있다.

댓글 남기기

Optimized by Optimole
MENU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